전체 글194 FSC 산림인증 쿠사우나는, 환경보호를 위해 환경단체가 추천하는 FSC 인증 나무를 사용하였습니다. FSC는 책임 관리 되는 산림 자원이 완제품에 사용된 것을 소비자가 쉽게 확인 하도록 하기 위하여 인증 제도를 만들어 전 세계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FSC가 산림 관리를 위해 개발한 인증 제도는 소비자들이 FSC 라벨을 부착한 제품이나 포장을 보고, 그 제품에 사용된 산림 자원이 책임 있게 조달되었다는 것을 확신하게 해줍니다. FSC 산림 관리의 원칙 및 기준 1. 준법 2. 근로자의 권리 및 고용 조건 3. 원주민의 권리 4. 지역 사회와의 관계 5. 산림이 제공하는 편익 6. 환경적 가치와 영향 7. 관리 계획 8. 모니터링과 평가 9. 높은 보존 가치 10. 경영활동의 실행 숲에서 소비자까지 FSC 라벨을.. 2023. 4. 3. 기술자료 임치제도를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잘알려지지 않은 기술자료 임치제도에 대하여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기술자료 임치제도란? 기업의 핵심기술 및 영업비밀을 신뢰성 있는 제3기관에 비밀리에 보관하여 기술보유사실을 입증하며, 법정추정력을 부여받음으로써 기업의 기술과 노하우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법적근거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 24조의 2에 근거하여 거래관계에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일정한 조건하에 서로 합의하여 핵심 기술자료를 신뢰성 있고 임치설비를 갖춘 대ㆍ중소기업ㆍ농어업협력 재단에 안전하게 보관하는 제도로 중소기업은 기술유출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대기업은 해당 중소기업의 파산, 폐업시 해당 임치물을 이용하여 관련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2023. 4. 3. FCC 국제인증 FCC 인증제도란? FCC(미국연방통신위원회)는 1934년에 미국의 통신법에 의해 통신관계의 위원회로서 설립되어 통신 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임무를 갖고 있으며 전파자원의 효육적 이용관리 방안의 일환으로 주요 전기ㆍ전자 제품에서 발생하는 불요 전자파를 규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회의 위임을 받아 무선, TV, 위성, 케이블에 대한 정책 개발 및 시행을 하는 독립적인 정부대리 기관입니다. FCC의 인증이 필요한 관련규정은?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9kHz 이상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품이면 인증이 필요합니다. FCC가 정한 [47CFR] 은 Part 18까지 있고 전자파 방해에 관련한 부분은 Part2에 있으며 이중 15장에 무선주파기기.. 2023. 4. 3. KC 전자파 적합 인증 KC 전자파 적합인증 제도란? 미래창조과학부 (KCC: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에서 규제하는 “적합인증”은 전파 혼.간섭 위해, 인명안전과 인체등에 유해한 영향을 주거나, 통신망의 안전 및 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기자재로써 전파법 제 58조에 의거하여 방송통신기기를 제조, 수입 또는 판매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인증을 받고 이에 관한 표시를 제품에 부착하여 유통하도록 하는 강제인증제도입니다. 전자파적합인증 필요사항은? 01. 인증신청자 식별부호(ID)지정(변경)신청서 02. 방송통신기기 적합인증 신청서 03. 사업자 등록증 사본 04. 한글 사용설명서 05. 대리인 지정서 06. ID Label 07. 부품배치도(Part location diagram,.. 2023. 4. 3.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49 다음